우리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은 시간이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우리에게 있다가도 없으며, 없다가도 생기는 것들이다.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연, 건강, 돈 모두는 지금은 당장 없거나 잃었더라도,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시간은 어떠한가? 아무리 매서운 권력자라도, 세상을 밝힌 현인이더라도 흘러간 시간과 세월을 잡을 수는 없다. 그래서 우리는 삶에서 자신의 시간을 주도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책 [계속하게 만드는 시간관리습관]에서는 이를 위해 16개의 조언을 해주었다. 이 조언들을 정리, 종합해 5가지의 원칙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마인드를 개조하자
시간관리에 앞서서 마음가짐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삶 속에서 시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미루는 습관을 버리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해, 이로부터 탈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가 미룬 일들은 나중에 눈덩이처럼 불어서 나를 압사시키고 말 것이다. 5분 이내에 끝낼 수 있는 간단한 일(옷 정리, 물건 제자리에 두기 등)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시행하도록 하자.
2. 일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자
우리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다. 일의 우선순위를 세워, 중요한 일부터 처리하도록 하자. 중요한 일들은 대게 두려움을 수반한다. 중요한 일은 우리를 익숙한 곳으로부터 밀어내고, 큰 책임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우리는 중요한 일을 기피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때 진전에 따른 불편함을 이겨내고 중요한 일을 시작하면 우리의 삶이 바뀐다. 특히, 중요한 일들은 생산성이 높은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중요한 일은 아침에 처리하자. 아침의 두 시간은 가장 생산성이 높은 시간이다.
3. 스케줄러를 만들자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과제 목록(To-do List)가 아니라, 잘 정리된 스케줄러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일에 앞서 과제 목록을 만들지만, 이를 잘 수행하지 않는다. 오히려 과제 목록의 존재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과제 목록의 방대한 양에 겁을 먹어, 목록 내에서 중요한 일보다는 빠르게 할 수 있는 일들부터 처리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스케줄러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i) 중요한 모든 일에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라. 중요한 일들을 위해 따로 시간을 확보해서 스케줄러에 추가를 해야 한다.
ii) 중요한 일은 최대한 앞에 넣어라. 사람의 생산성은 대체로 오후보다 오전에 뛰어나다.
iii) 할 일을 취소하지 말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일정을 바꿔서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4. 해야 할 일은 끊이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자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스케줄러를 적으며 하루를 보내고 있는 데도, 하루 종일 업무에 시달리고 있지는 않는가? 이럴 땐 과감히 도중에 일을 마무리하는 결심을 해야 한다. 무책임하게 그저 하던 일을 그만두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항상 끊이지 않기 때문에, 모든 일을 완벽히 마무리하고 집에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일이 사적인 영역까지 침범하게 된다면, 결국 우리는 생활을 잃게 될 것이다.
5. 업무 다이어트
건강한 몸을 위해 식단 조절이 필요한 것처럼, 일처리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우리는 가능하다면 일을 없애거나, 위임하거나, 재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사람은 흔히 바쁘다고 느낄 때,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 되었다고 착각을 한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는 바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최대의 역량을 낼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300 사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양궁, 쇼트트랙은 어떻게 세계 최고가 되었나?' 책 <탤런트 코드> 요약, 리뷰 (0) | 2020.06.06 |
---|---|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나? <1만시간의재발견>을 읽고, 독서 유튜버 우기부기TV 추천 (0) | 2020.05.22 |
"왜 나는 이렇게 비합리적인 행동을 할까?" 유튜버 자청이 추천한 진화심리학 책, [클루지]를 읽고 (0) | 2020.05.20 |
블라인드 채용과 AI 채용 [채용트렌드 2020] 2부 (0) | 2020.05.07 |
수시채용, 상시채용의 시대,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채용트렌드 2020] 을 읽고 (0) | 2020.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