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 사회과학

블라인드 채용과 AI 채용 [채용트렌드 2020] 2부

by Dallas 2020. 5. 7.
반응형

 

블라인드 채용?

블라인드 채용이란 지원 과정에서 나이, 학력, 출신지, 학점 등을 적는 칸을 없애고, 이를 대신해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경험,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 등을 적음으로써 지원자의 배경보다는 현재의 능력을 위주로 채용하겠다는 채용 방식이다. 이를 통해 지방 사립대학의 학생들도 차별받지 않고 대기업과 공기업에 들어갈 수 있는 '공평'한 채용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대학생들에게는 이렇다 할 혜택을 주지 않아, 역차별을 불러일으켜 결과적 '평등'을 불러일으켰다는 주장이 있다.

 

블라인드 채용의 이런 장단이 있지만, 이는 하나의 관습과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고, 쉽게 사그라들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블라인드 채용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블라인드 채용 대비 취업 전략 5가지

 

1. 달라진 블라인드 채용의 룰을 파악하자.

경험이나 경력의 유무보다는, 자신이 직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잘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2. 정량 지표(단순 스펙)가 아닌 정성 지표를 쌓아라

블라인드 채용에서의 1차 서류전형 단계는 지원을 위한 최소점같은 것이다. 블라인드 채용에서는 1차 서류전형 단계에서 불필요하게 지원자를 거르지 않는다. 서류전형의 중요성은 이전만큼 강하지 않다. 그렇기에, 우리는 면접을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

 

3. 이력서보다는 '직무 중심 자기소개서'에 집중하라

 

4. 직무에 맞는 '구조화 면접' 질문에 대비하라

블라인드 채용의 절차는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때로 면접까지 블라인드 형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직무에 대한 지식과 관심도가 더 중요해지니, 역량을 충분히 어필할 수 있게 대비하자.

 

5. 모의면접, 스터디를 통해 면접 실력을 갈고닦는다.

 

 

 

 

AI 채용?

블라인드 채용이라는 개념이 나온지 채 얼마 되지 않아, 4차 산업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새로운 채용 방식인, AI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 AI 채용은 AI의 서류검사와 면접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채용 형태가 확산된 이유는, 블라인드 채용의 증가와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 AI의 특징인 정확성을 활용한다면 블라인드 지원 내의 1차 서류전형 등에서, 사람이 하는 것보다 더 큰 효율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롯데그룹, SK그룹, CJ그룹 등 2018년 87개 사 수준이었던 AI면접이 2019년 약 100개 사로 증가했다. AI 채용이라는 새로운 방식은 준비되지 취업준비생들에게는 또 다른 취업의 난관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런 AI 채용에 대비해 저자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AI 채용 대비 주의점 5가지

 

1. 표절 금지

AI는 이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인간보다 더 정확하게 표절을 잡을 수 있다. 본인의 자소서를 재탕하는 것도 지양해야 하며, 특히 전보다 맞춤법에 신경을 더욱 많이 써야 한다.

 

2. 어법에 맞게 사실만 쓰기

 

3.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과 자신이 부합점을 어필하기

 

4. 직문에 필요한 역량을 구체적으로 그릴 것

 

5. 모의 면접을 해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