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사전 2편
지난 편 링크
1편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채우기
1. 경제 고통 지수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 보여주는 지수이다. 계산법은 '물가상승률 + 실업률 - 실질 국내 총샌산(GDP)의 증가율'로 나타낸다. 2. 매몰
studyadult.tistory.com
11. 언더독 효과
시합이나 게임 등에서 강자와 약자가 맞붙을 경우, 약자에게 연민을 느껴 약자가 이기기를 바라는 효과
12. 수요
구매능력을 갖추고 있는 이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려는 욕구
13. 수요 법칙
다른 모든 조건들이 같다고 전제했을 때,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증가하는 법칙을 말한다. 즉, 가격과 수요량은 서로 역의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14. 대체재
어떤 재화와 유용성이 비슷해 그 재화를 대신해, 대체해서 쓸 수 있는 재화. 예를 들어, 소고기 대신 돼지고기, 쌀 대신 밀, 밥 대신 빵을 들 수 있다. 대체재는 단순히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 수가 존재할 수 있다.
15. 보완재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재화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빵과 잼, 자동차와 석유, 커피와 설탕을 들 수 있다. 보완재 또한 단순히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 수가 존재할 수 있다.
16. 기펜재 - 수요 법칙의 예외 사례
가격이 내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재화의 가치가 더 떨어져서 수요가 줄어든 재화. 예로는, 연탄과 고무신이 있다.
17. 위풍재 - 수요법칙의 예외 사례
가격이 계속 오르는데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는 재화. 명품가방, 고급 자동차와 같이 과시를 위해 소비되는 재화들이 예로 있다.
18.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낙후되었던 구도심이 재개발 등으로 개발되면서, 중산층이 대거 옮겨옴에 따라 기존 저소득층 원주민이 과거보다 높아진 가격을 버티지 못하고 쫓겨나는 현상을 지칭한다. 가로수길, 경리단길 등이 있다.
19. 무임승차
어떤 재화나 서비스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소비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공공재에서 나타난다. 국방의 의무를 기피한 사람도 국방의 혜택을 보고, 납세의 의무를 지지 않은 사람도 치안의 혜택을 보는 등의 일을 예로 들 수 있다.
20. 공유지의 비극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람들이 함부로 사용하고 낭비해서, 공유자원이 금방 고갈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320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사전 - 모아보기 (총정리) (0) | 2020.05.30 |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5) (0) | 2020.05.25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4) (0) | 2020.05.23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3) (0) | 2020.05.21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채우기 (0) | 2020.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