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0 경제학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채우기

by Dallas 2020. 5. 14.
반응형

1. 경제 고통 지수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 보여주는 지수이다. 계산법은 '물가상승률 + 실업률 - 실질 국내 총샌산(GDP)의 증가율'로 나타낸다.

 

2. 매몰비용

이미 지출해서 회수할 수 없는 비용. 한 기업이 신제품 개발에 10억을 투자했다면, 이 10억은 이미 지불된 비용이기에 매몰 비용이라고 칭한다.

 

3. 매몰비용의 함정

미래에 이익보다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지금까지 들인 매몰비용이 아까워서 이를 포기하지 못하는 것. 위에서 말한 기업이 지금까지 투자한 10억이 아까워서, 신제품 개발을 지속하는 것이 수익성이 없어 보이는 데도 계속 투자를 하게 된다면, 본 사례는 매몰비용의 함정을 잘 보여주는 예시로 설명할 수 있다.

 

4. 공공재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이다. 사회간접자본과 공공서비스가 있다.

 

5. 사회간접자본 (SOC; Social Overhead Capital)

철도, 도로, 항공, 전력, 통신 등 국가의 경제발전과 생산활동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공의 기반 시설.

 

6. 공공서비스

국가나 공공단체에서 공공의 복지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치안, 소방, 국방, 교육 등이 포함된다.

 

7. 밴드왜건 효과

특정 상품의 수요가 가격이나 품질이 아니라, 다른 이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소비 현상을 지칭한다. 편승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쉽게 말하자면, 자신의 결정이 아닌 단순한 유행에 따라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 현상이다.

 

8. 스눕 효과

한 상품의 소비가 증가할 수록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 속물 효과라고도 한다. 밴드왜건 효과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9. 네트워크 효과

특정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밴드왜건 효과와 스눕 효과가 이런 네트워크 효과의 예시라고 볼 수 있다.

 

10. 베블런 효과

소비재의 가격이 상승했는데도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상류층의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한 허영심에 의해 수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가 늘어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