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사전 모아보기
경제 용어 사전 - 모아보기 (총정리)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채우기 1. 경제 고통 지수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 보여주는 지수이다. 계산법은 '물가상승률 + 실업률 - 실질 국내 총샌��
studyadult.tistory.com
51. 후순위채권
빚을 면제받는 순위가 후순위인 채권. 기업이 파산했을 경우, 기본적으로 빚을 면제받는 순위는 은행 -> 회사채 -> 후순위채권 -> 주식 순이다. 후순위채권은 면제받는 순위가 낮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아 금리가 더 높다.
52. 그레샴의 법칙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즉, 질이 떨어지는 화폐가 질이 높은 화폐를 쫓아낸다는 의미이다. 과거, 금화에 구리 등을 섞어서 주조하게 되면 사람들은 금 함량이 높은 양화는 사용하지 않고, 금 함량이 낮은 악화 위주로 거래에 사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시장에서 양화는 사라지고, 약화만 남아 흐르게 되며, 이로 인해 시장의 거래량이 위축되는 현상이다.
53. 태환지폐와 불환지폐
태환지폐는 언제든 금으로 바꿀 수 있는 지폐를 의미한다. 반면, 불환지폐는 금의 양과 상관없이 발행되는 지폐이다. 원, 달러, 엔 모두 불환지폐이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보유한 금의 양과는 상관없이, 원하는 만큼 얼마든지 찍어낼 수 있다. 과하면 인플레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54. 지급준비금 제도
은행이 예금자의 갑작스러운 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고객이 맡긴 예금 중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예치해 두는 제도이다.
55. 본원통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으로 흘려보낸 돈. 이때 조폐공사에서 한국은행으로 입고된 새 돈은 아직 통화량으로 치지 않는다. 한국은행에서 시중으로 흘러들어 가야 해당 돈이 비로소 통화량으로 잡힌다.
56. 레버리지 (지렛대 효과)
좀 더 많은 투자수익을 올리기 위해 빌린 돈을 지렛대 삼아 다시 투자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인플레이션 시기에 레버리지 투자를 많이 한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으로 판단해 은행에서 돈을 빌려, 이 자금을 바탕으로 투자하는 것이 레버리지 투자의 예이다.
57. 하이퍼인플레이션
물가가 단기간에 엄청나게 치솟는 것으로 초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베네수엘라는 2017년 물가상승률이 14,000%에 달했다. 국가와 경제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보통은 월평균 물가상승률이 50%를 초과할 때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58. 보이지 않는 손
가격이 시장경제의 수요와 공급의 흐름에 따라 정해지는 현상. 애덤 스미스가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한 말로 유명하다.
59. 사치품
살아가는 데 꼭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물품. 가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다. 콜라나 아이스크림 같은 것도 사치품의 예라고 볼 수 있다.
60. 필수품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물품이다. 사치품처럼 가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다. 의식주, 휘발유 등이 필수품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320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사전 - 모아보기 (총정리) (0) | 2020.05.30 |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5) (0) | 2020.05.25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4) (0) | 2020.05.23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3) (0) | 2020.05.21 |
경제 용어 사전 - 경제 상식 키우기(2) (0) | 2020.05.19 |
댓글